티스토리 뷰
상속세 면제 한도액 알아보기
2018. 6. 23. 03:10우리나라에는 현재 다양한 세금 종류가 있습니다. 상속을 할 때에도 상속에 대한 세금을 매기게 되는데요. 사실 상속할 때 내는 상속세를 굉장히 아까워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죠. 상속세 뿐만 아니라 세금을 많이 내는걸 별로 사람들은 좋아하진 않는데요. 면제를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있기 때문에 이를 잘 알아보시면 절세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볼테니 참고해보세요.
먼저 상속세에 대한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상속세는 자신의 자산을 가족, 친족 등에 무상으로 이전을 할 때 내는 세금인데요. 상속 재산에 대해서 세금을 부과하는거랍니다.
상속의 순위에 대해서도 한번 보겠습니다. 제1순위부터 제4순위까지 있으며 직계비속, 배우자, 직계존속, 형제자매, 4촌 이내의 방계혈족 등이 있습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은 1인당 5천만원까지로 되어 있는데요. 기본면제로는 2억원으로 가업이나 영농상속의 경우에는 추가로 공제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외 자녀 면제에 대해서는 1억 5천만원인데요. 미성년자의 경우에는 19세까지 연수를 곱하여 천만원이구요. 노인 면제의 경우에는 65세 이상으로 1인당 5천만원을 곱해주시면 됩니다.
댓글